top of page

Organ-to-organ communication

각 장기에서 발병하는 질병이 해당 장기에 국한한 문제라기 보다는 다른 장기들 간의 상호 영향이 질병 발병에 중요한 요인일 것이라는 가정 하에 여러 종류의 질병의 발병원인을 바라보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장기 사이에 상호작용에 있어서 몸안에 존재하는 미생물들의 역할에 초점을 맞추어 질병의 발병원인과 예후를 살펴보고자 여러 질환 동물 모델을 활용하여 미생물군집의 영향을 살펴보고 미생물군집과 그들의 대사산물의 변화양상을 분석하여 해당 질환과의 관련성을 찾고자 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Gut homeostasis

실험 동물의 미생물군집의 차이가 실험결과에 엄청한 차이를 초래할 수 있다는 것은 경험적으로 잘 알려진 사실이었습니다. 최근 십여년 사이에 그 구체적인 작용기전이 밝혀지고 있는데 일례로 Dan R. Littman 그룹은 장내 미생물군집 내에 특정 미생물(SFB)의 존재 여부가 특정 면역세포(Th17)의 분화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혔고, 이는 여러가지 질환의 발병에 영향을 준다는 것이 보고되었습니다. 그렇다고 숙주가 특정 미생물들의 우연한 우점에 의해서 질환이 일어나는 것은 아닙니다. 숙주는 능동적으로 미생물군집의 구성을 조절하는 여러가지 방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장내 항상성이 유지되고 있는데 이에 관여되는 유전자와 미생물군집의 조절 양상 그리고 그로인해 영향을 받는 질환을 장염 마우스 모델을 활용하여 연구하고 있습니다. 

Vaccine using microbial component

미생물의 성분을 기존 백신의 면역 효과 증대를 위해 활용하는 adjuvant로 개발하고자 하는 연구를 하려고 합니다. 더나아가서는 공생미생물을 활용한 새로운 개념의 백신의 개발의 가능성을 타진해보자 합니다. 

bottom of page